동작,상태 따위를 나타내는 말을 동사라고 한다. 동사에는 현재,과거,미래 따위의 시제의 변화가 있으며 또한 문장의 술어동사로서 주어의 인칭,수나 시제에 따라 형태가 바뀌는 것과 부정사,분사,동명사처럼 형태가 바뀌지 않는 것이 있다. be동사와 동사의 원형은 결합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be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가 있다. 원 형 be 현 재 am,are,is 과 거 was,were 과거분사 been 부 정 사 to be 현재분사 being 동 명 사 being * 동사의 활용 동사의 주어의 인칭,수,시제에 따른 어형 변화를 활용이라고 한다. 활용 중에서 특히 현재,과거,과거분사의 세가지가 중요하다. 동사는 규칙동사와 불규칙동사로 나누어진다. * 규칙 동사 동사의 원형(특수한 것을 제외하고서는 현재형과 같..
1. 한정용법: 형용사가 직접 명사 앞 또는 뒤에서 수식하는 용법. * I found an empty box. * He was awake all the night. (2형식) * I found the cage empty.(서술용법; 5형식) * I found the empty cage. (한정용법) ◇형용사가 주격보어나 목적격보어로 쓰이는 경우를 형용사의 서술적 용법이라 한다. ◇한정용법에만 쓰이는 형용사 * an inner pocket : 안주머니. * a woolen goods : 모직물. * the outer world : 외부세계. * a woolen box : 나무상자. * the former case : 전자의 경우. * a golden saying : 금언. * the upper lip : ..
1. 수동태와 능동태 ① 태의 의미 : 동작의 관점의 차이에 의해 생기는 동사의 표현 형식을 태라고 한다. 능동태: 동작을 하는 쪽에 중점을 둠. 수동태: 동작을 받는 쪽에 중점을 둠. △{능동태 → 수동태} I visited him. He was visited by me. (능동태의 목적어) (be동사+p.p) (by+능동태 주어의 목적격) (1) 능동태의 목적어를 주격으로 바꾸어 수동태의 주어로 한다 (2) 능동태의 동사를 「be동사+과거분사」로 바꾼다. be동사는 수동태의 주어와 인칭, 수에 따라서 바뀌고, 시제는 능동태의 시제와 일치시킨다. (3) 능동태의 주어는 「by+목적격」의 형태로 수동태의 술어동사 다음에 온다. (4) 「by~」(행위자)를 생략하는 경우:수동태에서 「by+목적격」이 생략되..
1). 법의 종류 ◇말하는 사람의 심리 태도에 의한 동사의 표현 형식을 법이라 하며, 직설법, 명령법, 가정법이 있다. * I am thirsty. (직설법) * Give me something to drink. (명령법) * I wish I had something to drink. (가정법) 2). 법의 형식과 용법 1.명령법 ①명령법은 동사의 원형을 사용한다. 명령은 상대방에게 하므로 주어 You를 생략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특히 상대방의 주의를 끌려고 할 때는 사용한다. * You read the first paragraph, John. * And mind you don't forget to post the letter. ②명령법은 접속사 and, or와 관련하여 조건을 나타낸다. ⓐ명령법 + a..
1. 명사적 용법 : "to+동사 원형"이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명사보어, 동격으로 쓰임. ①주어로 쓰이는 경우 : To learn English is very easy. = It is very easy to learn English. ②목적어로 쓰이는 경우 : I want to read this book ◇의문사 + to 부정사가 명사구의 역할.- 동사의 목적어. * I don't know what to do. where to go. when to do it. whom to go with............... ③명사보어로 쓰이는 경우 : * To see is to believe ④동격으로 쓰이는 경우 : * He has one aim, to make money. 2. 형용사적 용법 : "T..
1. 동명사의 형태 ① 1음절어로 단모음 + 단자음으로 끝날 때. * swim → swimming. run → running. ② 2음절어로서 후 강세어 (자음 하나 더) * prefer → preferring. omit -- omitting ③ -ie + ing → -ying. lie → lying. die → dying. ④ 기타: 어미가 c로 끝나는 단어가 [k]로 발음될 경우→k를 쓴 뒤에 ing. 어미가 발음되지 않는 e로 끝난 단어는 e를 생략하고 ing. * mimic → mimicking. picnic → picnicking. smoke → smoking. decide → deciding. ◇예외: be → being. see → seeing. dye[dai] → dyeing. ; 염색하다..
1. 분사의 한정용법: 명사 앞이나 뒤에서 직접 수식. ①전위수식 (앞에서 수식) * Who is the sleeping baby? ②후위수식. * I received a latter written in English. = I received a latter which was written in English. 2. 서술용법 ①주격보어로 쓰일 때 * He sat reading the magazine. (현재분사: 능동의 관계) * He remained satisfied with his salary. (과거분사: 수동의 관계) ②목적격보어로 쓰일 때 * I don't like to see you disappointed. * I saw him crossing the street. (O.C) * Of thos..
1. 수의 일치 ① 주어가 두 개의 명사로 연결된 것 * 복수 취급을 받는 것 The poet and the statesman are dead. The pen and the notebook are on the desk. * 단수 취급을 받는 것: bread and butter(버터 바른 빵) brand and water(물 탄 브랜디) Bacon and egg makes a good breakfast. The poet and statesman is dead. ② 부정사 + and + 부정사 --+ every + 명사 + and + every + 명사 →단수동사 사용. 단, 동명사 + and + 동명사는 복수동사 사용. * Early to bed and early to rise makes a man hea..
1. 부사의 형태 ①부사: 형용사 + ly. * 형용사 + ly: slow → slowly. kind →kindly, brave →bravely (용감하게) careful → carefully. beautiful →beautifully, * -y + ly = ily - happy → happily. heavy →heavily * le + ly = ly - possible → possibly. idle →idly(게으르게), noble →nobly(고결하게) ◇예외: sole → solely. whole → wholly. * -ue + ly = uly , true → truly, due → duly. * -ll + ly = -lly, full → fully. * -ic + ly = ically , dram..
Part 1. 주어와 동사만으로도 말은 된다 . 핵심포인트①가장 기본적인 문장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주어와 주어의 모습이나 행동을 나타내는 동사 하나로 이루어진 문장이 아닐까요? 사실 문장의 핵심인 주어와 동사 이외의 부분은 뜻을 좀 더 자세하게 해주는 것으로서, 그 부분이 없어도 말은 통할 수 있답니다. ②어느 나라 말이든 모든 문장은 크게 주어를 나타내는 부분과 주어 이외의 부분 즉, 주어를 설명하는 부분, 그렇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죠. 주어는 우리말의 "...은, 는, 이, 가"에 해당되고 그 나머지 전체가 서술어 부분인데 이 서술어의 중심이 바로 동사랍니다. ③그러나 서술어 부분의 핵심이 동사라고 해서 모든 문장이 주어와 동사만으로 다 해결되는 것은 아니죠. 동사에 따라서는 자기를 보충해줄 말..